안녕하세요! :D 집구석탱이입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은 헬리코박터 치료(제균요법)와 약 부작용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완치 판정은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일부 분들은 복용약 부작용 때문에 힘들어하시는 분도 계셔서 오늘 글로 모~두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헬리코박터 치료(제균요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치료는 다소 어렵거나 영어가 많이 섞일 수 있습니다..(참고만 하세요!)
치료는 1차 치료 그리고 구제요법(2차 또는 3차 치료)으로 나뉩니다.
1차 치료 이후에도 균이 박멸되지 않아 2차나 3차 치료로 넘어가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ㅠㅜ
1차 치료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헬리코박터 제균요법(1차 치료)
1. 표준 3제 요법(Standard triple therapy)
표준용량의 PPI(Proton pump inhibitor, 위산억제제로 이전 역류성 식도염에서 이야기하였습니다.) + 아목시실린(amoxicillin 1g), 클래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500mg 하루 2번) 7 또는 14일 복용
표준 3제 요법으로 14일 복용하였을 때 제균율은 78.1 %입니다. 일부는 실패할 가능성도 있는 것입니다.
제균에 실패하는 이유는 약 복용을 빼먹고 잘 못한 경우도 있겠지만..(14일 간 꼭 챙겨서 다 드셔야 제균율이 올라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클래리스로마이신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꾸준히 증가하여 제균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반대로는 제균 실패가 점점 증가하는 것이죠..)
14일 복용할 때는 제균율이 78.1% 이지만, 7일 복용할 때에는 70.0% 로 더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14일 항생제 복용을 권유합니다. 만약 약을 7일만 복용하고자 한다면 클래리스로마이신 내성 검사(PCR)를 하여 내성이 없는 것을 확인 후 복용할 것을 권고합니다.
2. 비스무스 비포함 4제 요법 : 순차치료(Sequential therapy)
표준용량의 PPI + 아목시실린 1g 하루 2번을 5일간 복용
-> 이후 표준용량의 PPI + 클래리스로마이신 500mg,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500mg 하루 2번을 5일간 복용
제균율은 14일 표준 3제 요법(Standard triple therapy)과 제균율이 유사합니다.
3. 비스무스 비포함 4제 요법 : 동시치료(Concomitant therapy)
표준용량의 PPI + 클래리스로마이신 500mg + 아목시실린 1g + 메트로니다졸 500mg 1일 2회를 10일 복용
14일 표준 3제 요법보다는 제균율이 좋았으며 10일 순차 치료 방법보다 약간 높은 제균율을 보입니다.
4. 비스무스(Bismuth) 포함 4제 요법
약제 부작용이 높으며, 1차 치료로 비스무스 포함 요법을 적용하게 되면 2차 치료에서 쓸 수 있는 약이 제한되기 때문에 1차 치료로 잘 권장하지 않습니다.
환자가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거나, 항생제에 대한 2중 내성이 있는 경우에 추천됩니다.
(복용 약의 종류는 밑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헬리코박터 구제요법(2차 치료 또는 3차 치료)
1차 치료로 제균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2차 치료를 해야 합니다.
14일간 비스무스 4제 요법
표준 용량의 PPI 하루 2회, 메트로니다졸 500mg 하루 3회, 비스무스 120mg, 테트라사이클린 500mg 하루 4회를 14일 간 사용
(standard dose PPI twice daily, metronidazole 500 mg three times daily, bismuth 120 mg and tetracycline 500 mg four times daily for 14 days)
1차 치료(비스무스 비포함 치료 : 표준 3제 요법 또는 순차치료, 동시치료)가 실패한 경우 비스무스 포함 4제 14일 요법을 권고합니다.
만약, 1차 또는 2차 치료로 비스무스 4제 요법이 실패한 경우에는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포함 3제 요법(PPI + amoxicillin + levofloxacin)을 고려합니다.
약물 부작용
위산억제제(PPI)
우선 위산 억제제의 부작용은 크지 않습니다. 1~10% 정도 두통이 있을 수 있으며 설사가 4% 정도 및 그 밖에도 다른 위장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항생제 부작용
아목시실린(amoxicillin), 클라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등
마찬가지로 흔하지는 않지만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흥분, 불안, 불면, 두통, 현기증 등 중추신경계 문제
- 피부 : 홍반성 반구진성 발진, 박리성 피부염, 두드러기, Stevens-Johnson 증후군 -> 심하면 피부가 다 벗겨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약물을 즉각 중단해야 합니다.
- 오심, 구토, 설사, 위막성 대장염 등 위장관 문제
-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 혈액 문제
- 간수치 증가, 간염, 황달 등 간 문제
페니실린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아목시실린을 복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메트로니다졸은 불쾌한 금속성의 맛이 날 수 있으며 음주와 함께하면 알코올 대사가 방해받아 메스꺼움, 구토, 홍조, 두통 등의 숙취와 유사한 불쾌한 증상이 유발됩니다.(약 드실 땐 음주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테트라사이클린은 뇌압 증가, 치아 변색, 신부전 등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여드름 치료제인 retinoic acid와 병용 시 두개내 고혈압으로 금기에 해당됩니다.
비스무스(Bismuth) 부작용
대체로 1차 치료보다 2차 치료가 더 위장관계 부작용이 심하다고 합니다.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더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는 대변의 색이 어두워지는 점이 있습니다.(이전에 변 색깔에 대해서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치료 후 추적검사
항생제 내성 때문에 치료 후 추적검사를 통해 완치검사는 필수적입니다.
1. 요소호기검사(Urea breath test)
헬리코박터균이 요산을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변환하는 능력을 이용한 검사입니다.
숨을 내쉬어 날숨의 요소성분을 확인하여 헬리코박터균의 유무를 판단합니다. 날숨만으로 검사가 가능하여 편하고 재현성이 높습니다.
위음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검사 전 PPI는 최소 2주, 항생제/비스무스는 최소 4주 중단 후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4시간 이상 금식(물과 약 포함)하셔야 합니다. 임신 가능성이 있거나 임산부는 검사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검사 방법으로는 금식한 상태에서 검사 튜브에 날숨을 불어넣어 검체를 채취,
그리고 요소 용액을 복용하고, 복용 직후 구강 세척,
30분 동안 앉은 자세를 취한 뒤, 한 번 더 날숨을 불어 검체를 채취하면 종료됩니다.
2. 대변항원검사(Stool antigen test)
대변에서 얻어야 되는 단점이 있으며 요소호기검사가 있어 성인에서는 별로 이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검사 전 PPI는 최소 2주, 항생제/비스무스는 최소 4주 중단 후 시행합니다.
3. 내시경 기반 검사(조직검사 또는 급속요소분해효소검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급속요소분해효소검사(rapid urease test, CLO test)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조직을 채취하여 요소 기질에 넣어 균이 분비하는 요소분해 효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암모니아에 의해 pH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CLO test에서 붉은색이 양성, 노란색이 음성을 나타냅니다.
주의할 점은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이 있는 부위는 위음성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치는 전정부와 체부에서 각각 1개 이상의 조직을 채취합니다.
검사 직전 최소 2주 동안 항생제 또는 PPI를 중단해야 합니다.

제 치료 후기를 말씀드리면 저는 비스무스가 없는 4가지 약을 동시에 먹는 동시치료를 받았습니다.
평소에 먹지 않던 약을 10일 동안 먹으려니 힘들었는데요...(의사지만 약 먹는 것은 매우 귀찮습니다...)
그래도 내성균이 생기기도 하고, 제균치료에 실패할 수도 있으니 하루도 빼먹지 않고 복용하였고, 특별한 부작용 없이 약을 10일 동안 다 먹었습니다.(부작용이 없었어서 다행이에요. :D)
그리고 1달 뒤 요소호기검사를 통해서 완치받았습니다.(1차 치료로 완치받아 다행이죠!)
오늘은 다소 조금 어려운 내용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헬리코박터균! 치료받으신다면 내용 참고하셔서 약 꾸준히 드시고 완치하시길 바랍니다. :D
집구석탱이였습니다.

출처 : 대한소화기학회 진료지침 :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2020
의약품 안전사용정보
Endotoday, Helicobacter 진단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요소호기검사(Urea breath test)
UpToDate : Indications and diagnostic test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adults
'건강하자! > 소화기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석의 이동을 통해 알아보는 담낭염, 담관염! (0) | 2023.02.24 |
---|---|
복부 초음파에서 담낭 안에 담석이 있다는데요? (0) | 2023.02.23 |
헬리코박터균 무조건 치료해야하나요? (0) | 2023.02.17 |
술마시고 피토를 했어요! 말로리 바이스 증후군? (2) | 2023.02.02 |
A형 간염 증상과 치료 및 예방법? 백신으로 예방해보자! (0)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