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피부병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피부질환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피부 병변의 특징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 발생한 피부병변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할 때가 있어요.
그럼 피부병변의 종류에 대해서 시작합니다~!

피부 병변은 크게 원발진과 속발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원발진 : 외상이나 조작(긁기, 문지르기),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형되지 않은 초기 병변
- 속발진 : 외상이나 조작(긁기, 문지르기), 또는 감염에 의해 원발진이 변화된 상태
이라고 하는데요. 우선 원발진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반점(macule)/반(patch)
- 반점(macule) : 피부표면의 융기나 함몰이 없이 색조의 변화만 있는 것 + 직경 < 1cm
- 반(patch) : 반점의 크기가 큰 경우(직경 > 1cm)
반점은 손으로 느낄 수 있는 요철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알고 있는 몽고반점도 크기가 1cm 이상 크기 때문에 사실은 몽고반이라고 해야 맞지요.(하지만 통상적으로는 '몽고반점'이라고 합니다.)
구진(papule)/판(plaque)
- 구진(papule) : 경계가 뚜렷하고 단단한 융기 + 직경 < 1cm
- 판(plague) : 구진이 커지거나 서로 뭉쳐서 형성된 넓고 평평한 융기된 병변(직경 > 1cm)
소수포(vesicle)/(대) 수포(bullae)/농포(pustule)/고름(abscess)
- 소수포(vesicle) : 직경 1cm 미만의 맑은 액체가 포함된 물집
- (대) 수포(bullae) : 직경이 1cm 이상인 물집
- 농포(pustule) : 화농성 물질이 들어있는 구진(맑은 액체라기보다는 염증 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직경 < 1cm
- 고름(abscess) : 화농성 물질이 들어있으며 직경이 1cm 이상
낭종(cyst)/결절(nodule)/종양(tumor)
- 낭종(cyst) : 액체나 반고형의 물질을 포함하는 결절
- 결절(nodule) : 직경 < 1cm의 융기된 고형 병변, 구진과 같은 형태이나 더 크기 깊으며, 구진과 달리 진피나 피하지방층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지속되는 경향
- 종양(tumor) : 여러 가지 모양과 크기(직경 1cm 이상)이는 덩어리
팽진(wheal)
- 팽진(wheal) :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크기의 부종성 판(plaque), 대부분 가려움증이 동반
이제는 속발진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 미란(erosion) : 까짐. 잔물집이 터진 후 표피가 떨어져 나간 병변. 대부분 흉터 없이 치료됨
- 궤양(ulcer) : 표피와 진피 전체 증의 부분적 결함. 반흔을 남기면서 치유됨
- 균열(fissure) : 경계가 명확한 벽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결함이 생기는 것(표피에 생기는 선상의 틈), 염증과 건조에 의해 두꺼워지거나 탄력성이 없어진 피부에 잘 생김
- 찰상(excoriation) : 가려움증 등에 의해 긁어서 생기는 선상 미란
- 반흔(scar) : 진피와 표피의 손상에 의해 생기는 새로운 결체조직의 집합, 비대 또는 위축 가능
- 인설(scale) : 각질 생성이 빨라지거나, 정상 각질화과정의 이상으로 피부 표면으로부터 탈락된 층상의 각질 덩어리
- 가피(crust) : 세포의 파편, 농, 혈청/혈액 등이 건조되어 나타나는 병변
- 위축(atrophy) : 표피가 얇아지는 것. 진피와 피하지방이 위축되면 피부표면이 함몰됨
- 태선화(lichenification) : 만성적으로 피부를 긁어서 피부표면이 국소적으로 두꺼워진 상태. 표피 전체와 진피의 일부가 가죽처럼 두꺼워지는 현상. 광택이 없고, 딱딱해지고, 피부주름이 뚜렷해짐.
오늘은 간단하게 피부병변의 종류, 다른 말로는 피부병변의 기술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이 생긴 피부의 병변을 확인하시고 나의 병변이 위에서 설명된 피부병변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 알고 계신다면 나중에 병원에서 묘사하거나 설명할 때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피부 병변에서는 시진(눈으로 진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 5초 안에 결정될 정도로 정확한 시진이 특히 중요하죠! 위의 병변들의 설명과 사진을 대조해 보면서 어떤 피부 병변이 생겼는지.
그리고 그 병변이 시간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참고할 수 있는
알찬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집구석탱이였습니다. :D

출처 :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피부질환의 일반적인 접근 전략
'건강하자! > 피부과, 성형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 꼬매야하나요? 상처에 물 닿아도 되는 시기? 실밥 제거 시기 (0) | 2023.02.14 |
---|---|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의 사용, 등급(강도), 부작용에 대해서 (0) | 2023.01.26 |
주부습진, 수부습진 치료와 관리법!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