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자!/정형외과, 신경외과(척추)

발목 접질렀을때? 응급처치! 일상으로 복귀? 운동은 언제?

집구석탱이 2023. 1. 14. 07:32

안녕하세요! 집구석탱이입니다. :D
오늘은 발목 염좌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작년 이맘때 즈음이네요. 지인들과 풋살을 하다가 오른쪽 발목을 심하게 접질렸습니다.
당시에 퉁퉁 붓고 멍들고 통증도 심하고 그랬는데요.
풋살 끝나자마자 장거리 운전이 필요한 약속이 있어서 응급처치만 급히 하고 운전해서 간 적이 있습니다.
(제가 의사지만, 전 정말 의사말 안 듣는? 사람입니다..)
응급처치를 했지만 쉬지 않고 운전을 해서 인지..(자동차 액셀 밟기도 힘들었어요ㅠㅜ) 그때 치료를 잘 받지 않아서인지 아직도 제 오른쪽 발목은 불편합니다ㅠㅠ


춥고 겨울인 이맘때 즈음이면 더 시린 것 같은 제 발목.. 여러분들은 후유증 없이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출처 : 서울 아산병원 이미지


우선 염좌(Sprain)란?

염좌는 관절을 지지해 주는 인대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를 주로 말합니다.
그럼 발목 염좌는 발목 인대 문제겠네요!

염좌의 정도

염좌는 그 심한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로 나타냅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이미지

  • 1도 염좌

인대가 약간 늘어난 정도이거나, 인대의 미세한 손상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약간 부을 수 있고 누르면 아픈 압통이 발생합니다. 약간의 통증은 있어도 체중을 싣는 운동나 일반적인 걷기는 가능합니다. 비록 인대가 미세하게 찢어졌지만, 관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 2도 염좌

조금 더 심한 염좌로 인대의 일부 찢어짐이 동반됩니다.
1도 염좌보다는 조금 더 통증이 있고 붓고 멍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 움직임에 장애가 발생하여 걷거나 운동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 3도 염좌

완전한 인대 파열이 동반된 염좌입니다. 심한 통증과 붓기, 압통, 멍이 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움직임이 완전히 제한되어 걷기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대 파열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염좌의 응급처치!

정말 많이 알려진 방법입니다. PRICE 방법! 모든 인대 염좌는 이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P : Protection (보호)
R : Rest(안정)
I : Icing(냉각)
C : Compression(압박)
E : Elevation(올림)

각각 하나씩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https://thefoothub.com.au/ankle-sprain/

Protection(보호)

발목 염좌 부분을 탄력 붕대나 보호대, 부목, 반깁스, 석고고정 등으로 보호합니다.

Rest(안정)

중력이 작용하거나 체중을 싣는 움직임을 제한해야 합니다. 필요하면 목발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Icing(냉각)

얼음이나 차가운 물로 염좌 부위에 적용합니다. 15분에서 20분간 2~3시간마다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러한 냉찜질은 붓기가 호전될 때까지 또는 다치고 나서 48시간 동안 적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Compression(압박)

붓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압박붕대 등으로 다친 부위를 감싸줍니다.

Elevation(올림)

반듯이 누워서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 다친 발목을 올려줍니다. 발목을 올려주시면 점차 붓기가 호전됩니다.
(거실에서 소파 위에! 또는 주무실 때 발목 부위에 높은 베개 1~2개 정도 올려주시면 좋겠네요:D)


일상으로 복귀?

통증과 부상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나, 1도 염좌 및 측면 인대 염좌인 경우에는 보호대나 부목 등을 적용하고 며칠이내 직장에는 복귀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낫기는 약 2주 정도가 걸립니다.

조금 더 심한 2도 염좌는 주로 앉아 있는 일을 해야 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아야 합니다. 완전한 작업과 활동까지는 3~4주가 걸립니다.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3도 염좌인 경우는 더 오래 걸리게 됩니다. 물리치료와 함께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만 하고 회복의 진행상황에 따라 6~8주가 지나야 완전한 복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업의 특성상 괴중한 작업은 더 긴 휴식기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어요ㅠㅜ)


운동은 언제부터 되나요?

1. 통증과 붓기가 상당히 개선 및 해결되었을 때!
2. 관절 불안정, 심각한 통증, 운동 후(또는 다음날) 붓기 없이 전속력으로 움직일 수 있을 때!

위의 꼭 2가지!! 는 확인하시고 운동하셨으면 합니다.
하지만 제일 정확한 것은 경험이 풍부한 의사, 물리 치료사, 운동 트레이너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 주말에 응급처치를 본인이 스스로 다 하고 평일에 진료 오신 분을 보았어요.(저보다 나았습니다...)
그분은 응급처치 덕분인지 많이 호전된 상태로 오셨더라고요~ 여러분도 적절한 응급처치로 병을 초기에 자가 치료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 물론 본인이 스스로 치료하기에는 다소 심각한 상태(골절 동반, 3도 염좌) 일지도 모르고, 초기에 치료를 잘 못했다가는 만성 발목 불안정증이 생길 수 있으니 다치시면 꼬옥~ 전문가(정형외과 의사 등)와 상의하세요!

출처 : Uptodate : Ankle sprain in adults: Evaluation and diagnosis & Ankle sprain in adults: Management